자산리스트
상호명: (주)에스티 매니지먼트 | 대표자: 이준용 | 사업자등록번호: 107-88-15030
TEL. 02-6959-5553 | FAX. 02-6959-5117
주소: 서울 영등포구 양평로21가길 19, 211호(양평동5가 우림 라이온스벨리 B동)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2, 5층(상암동,DMS빌딩)
상호명: (주)에스티 매니지먼트
대표자: 이준용
사업자등록번호: 107-88-15030
TEL. 02-6959-5553
FAX. 02-6959-5117
주소: 서울 영등포구 양평로21가길 19, 211호(양평동5가 우림 라이온스벨리 B동)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2, 5층(상암동,DMS빌딩)
'마이데이터' 시대, 카카오페이 자산관리 '버킷리스트' 서비스 눈길
카카오페이 '자산관리 서비스' 8개월 만에 서비스 사용자 20배 증가 금융 습관 형성을 위한 '버킷리스트' 추가, 사용자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 마이데이터 시대, 3C 중심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로 성장 계획
▲ 이승효 카카오페이 서비스 총괄 부사장 ⓒ카카오페이
'내 손안의 금융비서'를 표방하는 '마이데이터(MyData)' 사업이 각광받고 있다.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이 8월부터 시행되면서 가명정보와 익명정보를 활용해 금융정보를 통합 관리해주는 시대가 열렸기 때문이다.
마이데이터는 기존 금융회사가 관리하던 은행 계좌와 신용카드 이용 내역 등을 개인이 관리할 수 있는 개념이다. 금융사 곳곳에 분산된 정보 주체의 신용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것. 즉 비(非)금융권 기업들도 개인의 동의를 받아 신용정보의 관리를 지원하고 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개인의 신용관리나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사용자의 금융 현황을 통합적으로 조회(Combine) ▲사용자 분석을 통해 상황에 맞게 개인화(Customize) ▲사용자가 필요한 순간에 최적의 상품과 서비스로 연결(Connect) 등 3C 중심의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 고도화에 나섰다.
카카오페이 자산관리 서비스는 지난 1월 대비 서비스 사용자 수 20배 성장을 기록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카카오페이증권과 협력해 22일 공개한 '버킷리스트'의 경우 재미있고 편리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건강한 금융 습관 형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이용자는 카카오페이앱을 실행하고, 평소 이루고 싶은 목표인 버킷리스트를 생성한 뒤 원하는 금액과 주기만 설정하면 된다. 이후 목표 금액이 달성될 때까지 카카오페이가 자동으로 자산을 관리해준다. 일일이 신경 쓰지 않아도 목표금액이 달성될 수 있도록 진행 상태를 체크해 매주 모인 금액, 목표달성 현황 등은 알림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
빠른 목표 달성을 위해 데이터 분석 기반 자산관리 가이드도 제공된다. '잘 모으기 부스터' 기능은 사용자의 주 사용 소비 카테고리를 안내하고, 해당 소비가 발생할 때마다 원하는 금액의 적립을 돕는다. 사용자는 원하는 규칙에 맞게 소비 카테고리와 모으는 금액 단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지출이 발생할 자산리스트 때마다 자동으로 버킷리스트에 설정 금액이 모아진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버킷리스트 달성 과정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카카오프렌즈 캐릭터 죠르디를 활용했다. 목표가 이뤄지는 과정을 시각화하고, 달성한 목표는 카카오톡을 통해 친구에게 공유할 수 있다.
버킷리스트는 카카오페이앱 최신버전(1.10.5) 이상에서 순차 적용된다. 1인당 5개까지 목표를 만들 수 있고 목표당 개별로 카카오페이증권의 계좌가 각각 개설된다. 개설된 버킷리스트 계좌는 전월 실적∙한도 없이 매주 연0.6%(세전)가 지급되며, 필요 시 언제든지 출금 또는 해지 가능하다.
이승효 카카오페이 서비스 총괄 부사장은 "버킷리스트는 자산관리의 시작은 종잣돈(Seed Money)모으기지만, 꾸준히 돈 모으기를 어려워하는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라며 "작은 목표가 달성되는 과정 속에서 성취감을 얻은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카카오페이 안에서 자산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최근 지역특성화와 도시재생의 주요 수단으로서 건축자산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증대하고 있으나 건축자산에 대한 가치인식이 부족하고 보존정책의 한계로 국내 건축자산의 멸실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정부의 문화재로 지정되는 대상의 범주가 지역 차원의 중요성을 가지거나 시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의미를 가지는 것까지 확대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또 실제로 그러한 방향으로 제도가 변화해왔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정책변화에 발맞춰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러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축자산에 대한 현황과 실태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축자산의 체계적인 기초조사와 목록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제까지 특정한 목적으로만 진행되어 총체적인 건축자산에 대한 현황파악이 매우 미흡하다는 국내 현실을 감안할 때 기본적 관리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건축자산과 관련된 국내 선행 조사사업 분석 및 문제점 고찰, 해외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이를 통한 조사기준(안)의 마련과 시범적용을 통해 건축자산 목록구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법규 및 조사사업 운영 등에 대한 문헌조사, 선행 조사사업 관계자 자문 및 면담, 외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현장조사, 전문가 자문 및 현장 답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건축자산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기초단계인 조사사업 및 목록 구축, 그리고 구축된 자료(Inventory)의 활용 방안 제시를 목표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향후 건축자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 활용을 위한 운영방안 및 지원체계, 제도개선 등에 대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건축자산의 실태조사, 우수건축자산의 유지관리 방안, 건축자산 산업 및 전문인력 육성방안, 건축자산 밀집지역 현황조사 및 운영방안, 마지막으로 건축자산 활용 사례분석 및 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자체 단위의 건축자산 조사사업과 목록구축이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기준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기초조사를 시작으로 건축자산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체계를 총체적으로 구축해야 함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9
3) 연구의 흐름 10
3. 건축자산의 개념 정립 11
4. 선행연구 검토 17
1) 선행연구 검토 17
2) 본 연구의 차별성 21
제2장 건축자산 법제도 및 조사사업 현황 23
1. 건축자산 법제도 현황 및 최근 정책동향 23
1) 중앙정부 차원 23
2) 지방자치단체 차원 26
2. 건축자산 조사사업 현황과 최근 동향 33
1) 중앙정부 차원 33
2) 지방자치단체 차원 35
3. 건축자산의 가치 및 관리의 필요성 37
1) 문화유산의 가치 37
2) 해외 건축자산 보존·관리 원칙 39
제3장 국내 건축자산 조사사업 사례 분석 43
1. 국내 건축자산 조사사업 사례분석 44
1) 전국건축문화자산 조사사업(건축문화의해 조직위원회, 1999) 44
2) 경기도 건축문화유산 조사사업(경기문화재단, 1999~2003) 49
3) 근대문화유산 조사 및 목록화 사업(2002~2005) 58
4) 비지정 건조물문화재 일제조사사업(문화재청, 2005~2008) 68
2. 사업별 비교분석 및 종합 78
1) 조사사업별 운영 특성 및 시사점 78
2) 조사사업 운영상 문제점 및 개선방향 82
3) 종합 : 건축자산 목록구축을 위한 조사사업 운영 방향 92
제4장 해외사례 분석 93
1. 건축자산 관련 조사 및 기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미국 93
1) 법제도 현황 및 조사 개요 93
2) 역사 자산 등록제도와 기초조사 : NHPs와 NRHPs 98
3) 연방정부 차원의 역사자산 기록화 프로그램과 기초조사 : HABS, HAER, HALS 106
4) 지방정부 차원의 역사자산 등록과 기초조사 : 보스턴 시 111
2. 조사 매뉴얼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조사를 시행한 영국 112
1) 법제도 현황 및 조사 개요 112
2) 역사유산 전수조사 : 조사매뉴얼 활용 117
3) 등재 건축물 지정기준 및 최근 법제도 변화 123
3. 정부부처별로 건축자산 목록을 구축하고 있는 일본 129
1) 법제도 현황 및 조사 개요 129
2) 문화청의 ‘근대화유산(건조물 등) 종합조사’ 134
3) 경제생산성의 자산리스트 ‘근대화 산업유산 조사’ 140
4. 국내에의 시사점 142
제5장 건축자산 시범조사 145
1. 건축자산 시범조사를 위한 조사 기준 및 방향 145
1) 조사 대상 유형 및 분류체계 145
2) 가치 판단기준 146
3) 조사 방법 및 과정 147
4) 조사 항목 및 내용 148
5) 조사표(양식서) 작성방법 149
2. 건축자산 시범조사 : 군산시, 아산시 154
1) 시범조사 개요 154
2) 군산시 일반현황 및 건축자산 조사 결과 156
3) 아산시 일반현황 및 건축자산 조사 결과 169
3. 소결 : 시사점 및 조사 기준 개선점 180
제6장 건축자산 목록구축 및 활용 방안 183
1. 건축자산 조사 표준안 마련 184
1) 건축자산 유형 및 분류체계 184
2) 건축자산 선정 기준 및 원칙 189
3) 조사 항목 및 내용(조사표) 194
2. 건축자산 조사 매뉴얼 마련 206
1) 조사 매뉴얼 구성(안) 206
2) 조사 방법 및 절차(예시) 207
3) 건축물 조사표 작성방법(예시) 209
4) 조사결과 정리방식(예시) 213
3. 건축자산 조사 및 목록화 사업 추진방안 마련 217
1) 운영방식의 검토 217
2) 조사사업 추진방안 218
4. 건축자산 목록 활용을 위한 연계체계 마련 222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안 231
1. 연구의 요약 및 의의 231
2. 정책제안 및 연구제안 233
1) 정책제안 233
2) 향후 연구제안 234
참고문헌 237
부록1. 「한옥 등 건축자산 진흥에 관한 법률안」개요 251
부록2. 해외 건축자산 관련 조사양식 및 기준 254
부록3. 건축자산 시범조사 결과 291
자산 리스팅
자산을 게시해야 할 첫 번째는 브라우저에서 마켓 플레이스를 열고 자산 목록을 만드는 것입니다. 여기에있는 모든 세부 사항을 작성할 필요는 없지만 최소한 패키지를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초기 정보를 제공해야합니다. 따라서 YoYo 계정에 로그인 한 다음 게시자 섹션으로 이동하여 생성 한 게시 ID 를 선택하십시오.
마켓 플레이스 창이 열리면 " + Add New Asset "이라고 표시된 버튼과 함께 이미 업로드 된 자산 (있는 경우)의 목록이 표시됩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표시 이름 은 마켓 플레이스에서 패키지 이름으로 표시되며 패키지 ID 는 GameMaker Studio 2 및 마켓 플레이스 게시자 대시 보드에서 패키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패키지 ID는 업로드중인 자산에 고유 해야하며 com. . < 패키지 이름>과 같은 역방향 URL 형식을 따라야합니다.
그러면 패키지의 초기 리스팅이 작성되며 이제 자산 페이지로 돌아가서 추가 리스팅을 추가하거나 추가중인 새 자산에 대한 마켓 리스팅 세부 사항을 계속 채울 수 있습니다. 리스팅 페이지는 추가 할 자산 패키지의 유형을 정의하고 여기에 포함 된 내용 및 기타 관련 정보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공합니다.
여기에서 다음 각 필드를 작성해야합니다.
- 기본 카테고리 : 생성하려는 자산 유형입니다. 기본 카테고리를 설정 한 후에는 스프라이트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를 계속 선택하여 마켓 플레이스를 검색 할 때 사람들이 적절한 자산을 찾는 데 도움이됩니다.
- 패키지 ID : 추가 할 자산의 패키지 ID를 표시합니다. 변경할 수 없으며 각 ID는 생성되는 마켓 리스팅에 고유합니다.
- 표시 이름 : 시장리스트 페이지에 표시 될 자산의 이름 (최대 255 바이트).
- 설명 : 자산을 설명하는 간단한 설명 (2000 단어 미만), 기능 및 가능한 용도입니다.
- 키워드 : 마켓 플레이스에서 자산을 찾기 위해 검색 범위를 좁히는 데 사용할 수있는 하나 이상의 단어입니다. 이 키워드는 자산과 관련이 있어야합니다!
- 연령 등급 : 자산에 적용 할 연령 등급이며 다음 기준을 따릅니다.
- 4+ :이 카테고리의 자산에는 불쾌감을주는 자료가 없습니다.
- 9+ :이 카테고리의 저작물에는 만화, 판타지 또는 사실적 폭력의 온화한 또는 드물게 발생하는 콘텐츠와 9 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드물게 또는 온화한 성인, 암시 또는 공포 테마의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12+ :이 카테고리의 자산에는 드물게 온화한 언어, 자산리스트 잦거나 강렬한 만화, 판타지 또는 현실적 폭력, 온화하거나 드문 경우의 성숙하거나 암시적인 테마가 포함될 수 있으며 12 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17+ :이 카테고리의 자산에는 빈번하고 강렬한 공격적 언어, 빈번하고 강렬한 만화, 판타지 또는 사실적인 폭력, 빈번하고 강렬한 성숙, 공포 및 암시 테마, 성적인 콘텐츠, 과도한 노출, 알코올, 담배 및 약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만 17 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가격 : 자산을 설정해야하는 가격 책정 계층. 여기에서 설정 한 가격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고 제공하는 제품의 품질과 수량에 맞게 조정하십시오.
- 필수 모듈 : 여기서 자산을 올바르게 사용하기위한 최소 또는 절대 요구 사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지원 이메일 : 사람들이 자산에 문제가있는 경우 지원을 받기 위해 연락 할 수있는 이메일 계정입니다.
- 지원 URL : 사용자가 자산에 대한 지원을받을 수있는 URL (예 : FAQ, 포럼, 연락처 등)
- 마케팅 URL : 사용자가 자산, 게시자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있을뿐만 아니라 비디오, 스크린 샷 및 기타 관련 마케팅 자료를 볼 수있는 URL입니다.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URL : 자산에 장치 또는 사용자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또는 자산이 어린 이용으로 설계된 경우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대한 링크를 제공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켓 플레이스에서 자산을 올바르게 마케팅하려면 여러 이미지를 제공해야합니다. 아이콘 (200x200 PNG ) 및 기능 그래픽 (1140x360 PNG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 샷 ( PNG 여야하지만 다음 크기로 제작할 수 있음) ), 마지막으로 YouTube 또는 Vimeo 의 비디오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부 정보를 제출하고 이미지를 만들 때 모범 사례를 보려면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이러한 세부 사항을 모두 입력했으면 이제 "저장"을 클릭하면 게시자 대시 보드의 자산 섹션으로 돌아갑니다. 이제 자산이 나열되었고 패키지를 업로드하고 게시 할 준비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목록을 설정하는 것은 자산 목록을 설정하는 것과 약간 다르며 다음 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