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프레미스 호스트에서 전자 지갑을 찾아 모든 사용자가 전자 지갑 파일을 읽기, 쓰기 및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
전자 지갑
비밀번호 및 전자 지갑 파일을 기본 데이터베이스에서 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의 대기로 복사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이름 가져오기 및 전자 지갑 확인
OCI( Oracle Cloud Infrastructure ) 인스턴스에 대한 고유 데이터베이스 이름 및 Oracle SID(시스템 ID) 를 가져오고 전자 지갑 위치를 확인합니다.
- OCI에서 고유한 데이터베이스 이름 및 SID를 가져옵니다.
ORACLE_UNQNAME 는 OCI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current db_unique_name 입니다. ORACLE_SID 는 ONPREMSID 입니다. 이 예에서 Oracle SID는 ORCLCDB 입니다.
예를 들어, 온-프레미스 전자 지갑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OCI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파일 제거
OCI( Oracle Cloud Infrastructure )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파일을 제거합니다.
-
OCI 인스턴스에서 데이터 파일을 제거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합니다.
대기 데이터베이스에 비밀번호 복사
IP 주소를 사용하여 배스천 호스트와 대상 데이터베이스 호스트 간에 SSH 터널을 열어 온-프레미스 데이터베이스에서 대기 데이터베이스 호스트로 비밀번호 파일을 복사합니다.
-
배스천 호스트를 통해 로컬 호스트에서 대기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로 터널링하고 비밀번호 파일을 복사합니다.
전자 지갑 파일을 대기 데이터베이스에 복사합니다.
IP 주소를 사용하여 배스천 호스트와 대기 데이터베이스 호스트 간에 SSH 터널을 열어 OCI(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의 대기 데이터베이스 호스트에 있는 /home/oracle/ 디렉토리에 비밀번호 전자 지갑을 복사합니다.
-
온-프레미스 호스트에서 전자 지갑을 찾아 모든 사용자가 전자 지갑 파일을 읽기, 쓰기 및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
이 예제에서 전자 지갑은 ewallet.p12 및 cwallet.sso 의 두 파일을 포함합니다. chmod 777 명령을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가 두 파일을 읽기, 쓰기 및 실행 가능하도록 설정합니다.
Deploy a hybrid DR topology for an on-premises database
Copyright © 2020, 2021, Oracle and/or its affiliates.
본 소프트웨어와 관련 문서는 사용 제한 및 기밀 유지 규정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합의서에 의거해 제공되며, 지적 재산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라이센스 합의서 상에 명시적으로 허용되어 있는 경우나 법규에 의해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 어떠한 부분도 복사, 복제, 번역, 방송, 수정, 라이센스, 전송, 배포, 진열, 공연, 출판, 또는 시연될 수 없습니다. 상호 운용을 위해 법령상 요청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소프트웨어를 역 분석, 분해 또는 역 파일링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여기에 포함된 내용은 사전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으며 오라클은 동 내용에 대하여 오류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만일 오류를 발견하면 오라클에 서면으로 통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일 본 소프트웨어나 관련 문서가 미국 정부기관 혹은 미국 정부기관을 대신하여 라이센스한 개인이나 법인에게 배송되는 경우, 다음 공지사항이 적용됩니다.
U.S. GOVERNMENT END USERS: Oracle programs (including any operating system, integrated software, any programs embedded, installed or activated on delivered hardware, and modifications of such programs) and Oracle computer documentation or 전자 지갑 other Oracle data delivered to or accessed by U.S. Government end users are "commercial computer software" or "commercial 전자 지갑 computer software documentation" pursuant to the applicable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and agency-specific supplemental regulations. As such, the use, reproduction, duplication, release, display, disclosure, modification, preparation of derivative works, and/or adaptation of i) Oracle programs (including any operating system, integrated software, any programs embedded, installed or activated on delivered hardware, and modifications of such programs), ii) Oracle computer documentation and/or iii) other Oracle data, is subject to the rights and limitations specified in the license contained in the applicable contract. The terms governing the U.S. Government's use of Oracle cloud services are defined by the applicable contract for such services. No other rights are granted to the U.S. Government.
본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는 다양한 정보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일반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본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는 개인적인 상해를 초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본질적으로 위험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며, 그러한 용도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만일 본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를 위험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경우, 라이센스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모든 적절한 비상-안전, 백업, 대비 및 기타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합니다. Oracle Corporation과 그 자회사는 본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를 위험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어떠한 손해에 대해서도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Oracle과 Java는 Oracle Corporation 및/또는 그 자회사의 등록 상표입니다. 기타의 명칭들은 각 해당 명칭을 소유한 회사의 상표일 수 있습니다.
Intel 및 Intel Inside는 Intel Corporation의 상표 내지 등록상표입니다. SPARC 상표 일체는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사용되며 SPARC International, Inc.의 상표 내지 등록상표입니다. AMD, Epyc, 및 AMD 로고는 Advanced Micro Devices의 상표 내지 등록상표입니다. UNIX는 The Open Group의 등록상표입니다.
본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관련문서(설명서)는 제3자 컨텐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접속 내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와 오라클 간의 합의서에 별도로 규정되어 있지 않는 한 Oracle Corporation과 그 자회사는 제3자의 컨텐츠,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으며 그에 대한 일체의 보증을 명시적으로 부인합니다. Oracle Corporation과 그 자회사는 제3자의 컨텐츠, 제품 및 서비스에 접속 내지 이를 사용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어떠한 손실, 비용 또는 손해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단, 사용자와 오라클 간의 합의서에 규정되어 있는 경우는 예외입니다.
암호화폐 지갑
암호화폐 지갑(cryptocurrency wallet)이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계정을 말한다. 간략히 지갑 또는 월렛이라고 한다.
암호화폐 지갑
주요 암호화폐 지갑 122개에 대해 한글명 기준으로 가나다 순서로 정리하고, 상세한 설명을 쓴 글입니다.
암호화폐 지갑은 지갑 주소와 암호로 구성되어 있다. 지갑의 주소는 다른 사람들이 암호화폐를 송금할 수 있도록 공개해도 되지만, 개인 암호는 오직 지갑 소유자 본인만 알고 있어야 한다.
암호화폐 지갑은 비트코인 지갑, 이더리움 지갑 등 각각의 암호화폐 종류별로 따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비트코인(bitcoin) 지갑은 영문자 대문자, 소문자, 아라비아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이더리움(ethereum) 지갑은 영문자 소문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 리플(ripple) 지갑의 경우 지갑 주소와 별도로 데스티네이션 태그(Destination Tag)가 있어야 다른 사람이 송금한 돈을 받을 수 있다.
코인지갑은 크게 콜드월렛과 핫월렛으로 나뉜다. 코인월렛을 나누는 기준은 인터넷 연결 유무인데, 핫월렛 또는 온라인 지갑은 인터넷 주소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 온라인 상태에서만 거래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거래 정보를 주고받다 보니 Hot하다고 표현한다. 반면 콜드웰렛은 온라인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오프라인 상태에 있기 때문에 거래가 아예 안 되어 오프라인 지갑, 하드웨어 지갑이라고 부른다. 이렇듯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핫웰렛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지만, 개인키를 온라인에 연결해서 입력하기 때문에 해킹 등 보안 문제에 취약하다. 반면 콜드월렛은 인터넷이 차단된 하드웨어 장치에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개인키를 오프라인에서 처리해서 보내기 때문에 보안 측면에서 더 안전하나 실시간 거래가 불가능해 불편하다. [1] [2]
콜드월렛은 고액투자자나 코인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게 된다. 즉, 해킹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콜드월렛을 통한 암호화폐 전송은 1. 거래내역 생성 2. 개인키로 서명 3. 전송의 순서로 이뤄진다. 1번과 2번 단계는 콜드월렛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게 되며 최종 전송에서만 별도의 키를 만들어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콜드월렛을 통한 전송은 개인키가 온라인에 노출되지 않고 서명된 트랜잭션 코드를 붙여놓고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은 것이다. 최근 잦은 해킹사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안성 강화를 위해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에 암호화폐 예치금의 70% 이상을 콜드월렛에 넣어둘 것을 권고하고 있다. [2]
핫월렛은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모든 지갑을 말한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갑이며 예금계좌, 적은금액 또는 단기투자용으로 사용된다. 핫월렛은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쓸 수 있지만 해킹, 보안위험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즉, 해커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서 실시간 거래가 이뤄지는 핫월렛을 공격해 이용자 개인키를 탈취하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올해(2018년)까지 해킹으로 인한 피해액을 합치면 1,1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2]
암호화폐 지갑은 개인 PC에서 직접 만들 수도 있지만 관리가 불편하기 때문에, 대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웹 지갑을 사용한다. 암호화폐 지갑의 주소는 상당히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지갑의 주소를 표시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바로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자체는 블록체인 기반으로서 사실상 해킹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지갑은 소유자 개인의 아이디와 암호를 이용해 관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킹의 주된 대상이 되고 있다.
주요 암호화폐 지갑
사토시 나카모토가 만든 최초의 비트코인 지갑
- 1A1zP1eP5QGefi2DMPTfTL5SLmv7DivfNa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의 지갑
- 0xAb5801a7D398351b8bE11C439e05C5B3259aeC9B
비트코인 보유량 1위 지갑
- 3D2oetdNuZUqQHPJmcMDDHYoqkyNVsFk9r
106개 지갑에 나누어 보관된 84만 8천개의 비트코인
- 1MLsZmbT3mgmm6zLkTR26yJHVfn8BSdqqd
- 1FrfmxAhYRNU9ebotDHP9FqLbe54QZVcfi
후오비토큰의 스마트 컨트랙트 주소
- 0x6f259637dcD74C767781E37Bc6133cd6A68aa161
- ↑ @twinbraid, 〈핫월렛과 콜드월렛의 개념〉, 《스팀잇》, 2017-12-26
- ↑ 2.02.12.2 에어드랍가즈아, 〈코인을 지켜주는 콜드월렛과 핫월렛의 차이〉, 《에어드랍가즈아》, 2018-04-27
- ↑ 〈Genesis of Bitcoin〉, 《블록체인닷컴》
- ↑ "Address 0xAb5801a7D398351b8bE11C439e05C5B3259aeC9B", Etherscan
- ↑ 코인코드, 〈비트코인(BTC) 고래 지갑 상위 50개〉, 《코인코드》, 2018-12-25
- ↑ 장도선, 〈동일인 소유 추정 106개 주소에 84만8000BTC 보관〉, 《코인코드》, 2018-12-29
- 코인코드, 〈비트코인(BTC) 고래 지갑 상위 50개〉, 《코인코드》, 2018-12-25
- 장도선, 〈동일인 소유 추정 106개 주소에 84만8000BTC 보관〉, 《코인코드》, 2018-12-29
- 인사이트 & 칼럼,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지갑 종류 소개〉, 《블록센스》, 2018-07-05
같이 보기
이 암호화폐 지갑 문서는 암호화폐 지갑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 스마트폰에 익숙한 MZ세대 병역의무자들의 취향에 맞춰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지갑 민원 서비스를 새롭게 실시합니다.
- ▣ 그동안 종이로 출력하던 병역의무이행 관련 병역증, 통지서, 확인서 등 병역서류 28종을 스마트폰 으로 발급·보관·제출할 수 있는 병무용 전자지갑 민원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달라지는 정책 개요 표
추진배경 병역의무자 편익 향상을 위해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 발굴 주요내용 •(전자문서 지갑) 종이 없는 민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전자문서의 발급부터 제출까지 온라인 유통 서비스 기반 마련
* 종이 출력 및 방문 제출의 번거로움 해소, 문서 위변조 가능성 차단
•(디지털 신분증) 사회복무요원, 예비군 등 병역의무자들에게 사회복무 요원증, 전역증 발급 및 우대서비스 제공으로 병역이행 자긍심 고취 등 우대 분위기 조성
* 종이 또는 플라스틱 신분증 등 분실 위험, 보관 불편을 디지털 신분증으로 해소시행일 2022년 1월 (30109)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기획재정부
대표전화 : 044-215-2114 FAX : 044-215-8033 담당부서 : [email protected]
Copyrightⓒ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Republic of Korea. Some Rights reserved
(30109)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대표전화 : 044-215-2114 FAX : 044-215-8033 담당부서 : [email protected]
Copyrightⓒ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public of Korea. Some Rights reserved
정부24 전자문서지갑 이렇게 편리합니다 ft.전자지갑 전자증명서
어렵게 시간을 내서 은행을 방문했는데 주민등록등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막상 주민센터에 다녀오려니 참 번거롭습니다. 다행히 주민등록등본을 미리 가져온 경우에는 어떨까요? 발급한 지 3개월이 지나서 재발급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주민등록등본과 같이 생활이 필요한 공공 서류를 발급하기 위해 관공서를 방문하지 않고 그리고 별도 문서로 출력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없을까요?
있습니다. 바로 전자문서지갑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구글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정부24 앱을 설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해당 앱을 설치 한 뒤 메뉴에서 전자지갑 생성을 확인 및 약관 및 개인정보 전자 지갑 동의를 한 후 발급 버튼을 클릭하면 완료입니다. 설치 완료 후 정부24 앱에서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등 필요한 서류를 신청한 뒤 증명서 수령방법을 선택할 때 전자문서로 선택을 하면 해당 증명서가 전자문서지갑에 담아지게 됩니다.
전자문서지갑에 보관된 증명서는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다른 일반 개인이나 은행 또는 외부기관에 제출이 가능합니다. 제출을 원하는 기관의 이름으로 수신처를 검색하거나 QR코드를 이용해서 증명서를 발송할 수 있습니다. 한번 제출한 증명서는 향후에 보낸 시간, 수신 기관 이력 등 저장되어 있어 일괄적으로 이력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전자문서지갑에 발급받은 증명서는 스마트폰 자체에 보관되는 방식이 아닌 발급된 전자증명서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증명서를 신청한 본인만 접근할 수 있도록 자기정보 저장소에 암호화되어 보관되어 있습니다. 보관된 장소에 접근할 때는 비밀번호 입력 등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스마트폰을 잃어버렸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열람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추가로, 스마트폰을 분실 신고할 경우 전자문서지갑 자체가 폐쇄되어 저장소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습니다.
전자문서지갑으로 발급 가능한 증명서는 13종이며 그중 주요 증명서에 대한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민등록등본, 초본 : 대리인이 계좌 신규시
- 자동차 등록원부등본 : 자동차 거래 및 폐차 등록, 자동차 관련 금융지원
- 병적증명서 : 복학신청, 군 경력 확인, 입사 가산점,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 종합저축 가입 시
- 출입금 사실증명원 : 해외출장 증빙, 유학생 관련 자료 제출
-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 : 국가장학금 신청, 퇴직연금 중도인출, 전세 관련 금융 지원
- 지방세납세증명 : 각종 공공사업 수주 시, 위탁 사업 공모 시
- 건축물대장 : 토지, 건물 매매 시
- 운전경력증명서 : 전자 지갑 특정 직군 취업 시 증빙 자료
- 예방접종증명 : 어린이집, 초등학교 입학
- 초중등학교 졸업 증명서 : 검정고시 응시 접수
현재는 13종의 증명서와 더불어 국가유공자 확인서,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장애인증명서,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 국민연금소득공제 확인서 등 10개의 증명서가 추가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확대로 국. 공립 시설 이용 시 전자문서지갑을 이용하여 할인 혜택을 보다 쉽게 적용이 가능해졌습니다. 향후 지속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많이 이용하는 증명서부터 총 100여종에 이르는 증명서를 전자문서지갑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도록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전자증명서와 유사한 서비스로 2020.12.16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 전자문서 지갑 서비스가 있습니다. 카카오 전자문서 지갑은 신분증이나 각종 자격증 및 인증서를 카카오 전자문서에 담아 놓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중 카카오 인증서는 정부 24나 연말정상간소화사이트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참고로, 전자문서지갑에 보관된 증명서가 별도의 유효기간이 있는 증명서인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유효기간은 적용되고 있습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증명서의 경우에는 삭제되므로 새로 발급을 받아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자증명서는 증명서 위변조 방지, 블록체인 등의 보안기술이 적용이 되어 위변조가 불가능하다고 하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