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와 비트코인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강경한 인플레이션 대응 정책이 가상화폐와 같은 위험자산 시세 하락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도지코인 등 가상화폐 그래픽 이미지.
[비즈니스포스트]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시세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에 반응해 불안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투자자들이 당분간 가상화폐와 같은 위험자산 투자에 손을 떼야 한다는 권고도 이어졌다.
1일 미국 CNBC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가 공격적 금리 인상 기조를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증시와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투자자들의 불안한 심리가 반영되고 있다.
CNBC ‘매드머니’를 진행하는 투자전문가 짐 크레이머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투자자들에게 당분간 위험한 투자에 나서지 말라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했다”고 말했다.
크레이머는 투자자들에게 연준이 통화정책 기조를 완전히 바꿀 때까지 가상화폐와 같은 위험자산 투자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권고하며 “시세 불확실성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파월 의장은 최근 미국 경제정책 회의인 잭슨홀 미팅에서 인플레이션을 확실하게 잡겠다는 연준의 정책 기조가 미국 기업과 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내놓았다.
연준이 금리인상 등 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는 과정에서 경기침체를 비롯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미국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을 회피하는 심리가 더욱 뚜렷해지고 이는 증시 하락과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세 약세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크레이머가 이런 점을 고려해 가상자산과 같은 분야에 투자자들이 섣불리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는 경고를 내놓은 셈이다.
그는 “시세 하락세가 언제까지 이어질 지 예측하기 어려운 국면에 놓이고 있다”며 “연준의 강력한 통화정책 기조에 따라 어쩔 수 CNBC 짐 크레이머 “투자자들 손 떼라” 없이 발생하게 되는 결과”라고 말했다.
증시와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큰 충격이 현실화된 뒤 투자자들이 지금보다 더 나은 투자 기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도 이어졌다.
가상화폐 시세가 6월 저점과 비슷한 수준까지 하락하거나 더 낮아질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크레이머는 “시장에서 지나친 매도세가 이어진 뒤에는 반드시 큰 폭의 반등이 나타나게 되어 있다”며 “가상화폐와 ‘밈’ 주식 등 도박에 가까운 위험자산 투자를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원 기자
반기보고서의 당반기말을 기준으로 두나무의 무형자산으로 분류된 가상자산의 가치는 3,236억 원의 평가액을 나타냈다.
비트코인은 두나무의 무형자산으로 분류된 가상자산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두나무가 지난 6월 말을 기준으로 보유한 비트코인은 총 1만 1,248개로 전기말 수치였던 9,603개 대비 17.13% 늘어난 수량으로 확인됐다.
반기보고서상 1만 1,248개의 비트코인 평가액은 2,875억 원 규모로 가상화폐 시장이 폭락함에 따라 두나무의 무형자산 가치도 전기말 5,609억 원에서 감소하는 결과가 발생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무형자산으로 분류된 두나무의 가상자산 내역(사진=전자공지시스템/다트)
두나무가 보유한 이더리움과 테더도 지난 상반기에 걸쳐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더리움은 전기말 3,777개에서 4,056개로 증가했으며, 테더는 779만 개에서 819만 개로 불어났다. 평가액을 기준으로 당반기말 두나무 보유 이더리움은 55억 원 수준이었고 테더는 108억 원 규모였다.
전기말 174억 원의 평가액을 기록했던 두나무의 이더리움 무형자산 가치는 68.39%의 하락률을 보였다. 테더의 경우 큰 폭의 평가액 변동이 관측되지 않았다. 테더가 미국 달러의 가치를 일대일로 추종하는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점이 반영된 값이었다.
비트코인
두나무의 반기보고서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사항은 현재 비트코인 보유량이 전세계 상장기업을 기준으로 4위 수준이라는 점이다.
가상화폐 정보 제공업체인 ‘비트코인트레저리스’에 따르면 8월 현재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업체는 1만 2,260개의 ‘보이저디지털’로 알려졌다. ‘보이저디지털’은 지난 7월 미국에서 파산을 신청한 디지털 자산 CNBC 짐 크레이머 “투자자들 손 떼라” 중개회사다.
비트코인으로 유명한 미국의 전기차 제조업체인 ‘테슬라’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1만 725개로 전해졌다. ‘테슬라’는 기존 약 4만 개의 비트코인을 갖고 있었으나 지난 2분기 보유량 75%를 매각한 바 있다.
당시 비트코인 매각을 통해 ‘테슬라’가 거둔 수익은 6,400만 달러(한화 약 840억 원)였다. 현재 상장 기업을 기준으로 테슬라는 비트코인 CNBC 짐 크레이머 “투자자들 손 떼라” 최다 보유 기업 목록에서 4위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1위부터 4위까지의 전 세계 최다 비트코인 보유 상장기업 순위(사진=비트코인트레저리스(Bitcoin Treasuries)
한편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상장 기업은 미국의 클라우드 서비스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올해의 가상화폐 시장 하락세 속에서도 비트코인 매수를 지속하며 1등 자리를 지켜온 기업이다.
2022년 8월 30일을 기준으로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갖고있는 비트코인의 총개수는 12만 9,699개로 집계됐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폴란드 전기차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EV6를 앞세워 미국 테슬라를 제치고 현지 시장 1위를 CNBC 짐 크레이머 “투자자들 손 떼라” 달리고 있다.
30일 폴란드자동차산업협회(PZPM)에 따르면 기아는 올들어 7월 누적 폴란드 전기차 시장에서 총 576대를 판매해 점유율 10.3%를 기록,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CNBC 짐 크레이머 “투자자들 손 떼라” 말 현지 출시한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EV6가 실적을 견인했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으로 현지 운전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쏘울EV와 니로EV 역시 판매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EV6와 니로EV의 경우 같은 기간 누적 판매량 기준 유럽 베스트셀링카 톱10에 진입했다.
테슬라는 총 503대를 판매, 2위로 밀려났다. 기아와의 격차는 73대다. 이어 포드가 439대로 3위, 메르세데스-벤츠가 435대로 4위에 올랐다. 아우디는 411대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부터 10위까지는 △BMW(411대) △푸조(327대) △스코다(289대) △닛산(257대) △폭스바겐(235대) 순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같은 기간 216대를 판매, 11위를 기록했다.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기아의 판매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신형 니로EV가 가세한 것은 물론 EV6의 현지 인기가 급증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폴란드 전기차 시장 최초로 기아가 연말 1위를 차지할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앞서 기아는 지난해 테슬라에 밀려 2위를 기록했었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올해 들어 폴란드 전기차 시장 규모가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다"CNBC 짐 크레이머 “투자자들 손 떼라” 며 "EV6의 인기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아의 판매 호조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