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19 팬데믹 영향으로 마이너스 성장 겪는 美 의류 업계 -
- 지속되는 애슬레저 트렌드와 실내생활 증가로 인한 라운지웨어 분야가 시장의 성장 이끌 전망 -
가 . 산업 특성
◦ 미국 여성·여아·영유아용 의류 생산업 현황
- 시장 조사 전문기관 IBIS World 의 미국 여성·여아·영유아용 의류 생산업 보고서 (Women ’ s, Girls ’ and Infants ’ Apparel Manufacturing in the US, 2020 년 8 월 발간 ) 에 따르면 , 2019 년 해당 의류 생산 시장의 규모는 약 32 억 9500 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 020 년 말까지 약 26 억 1000 만 달러 규모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함 .
- 2015 년부터 2020 년까지 지난 5 년간 해당 시장은 연평균 -11.9% 의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으로 분석되며 , 2025 년까지 향후 5 년간은 급격한 성장 하락세를 서서히 회복하며 연평균 0.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 값싼 KOTRA 해외시장뉴스 상품·산업 | 국별주요산업 인건비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높은 수입 제품에 의존하는 의류 공급 시장의 특성상 , 미국 전체 의류 업계의 대다수 기업들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생산’ 부문을 아웃소싱하고 있음 .
- 그 외의 미국 내 의류 생산업계에서는 패스트 패션 아이템보다는 ‘하이엔드 (High-end) ’ 디자인의 의류 제품 생산에 보다 집중하는 것으로 분석됨 .
- 소비자 가처분소득이 상승하면서 해당 업계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나 , 여전히 저가 수입산 제품과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새로운 시장 진입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이 산업의 특징 중 하나임 .
- 미국 여성 및 아동용 의류 생산업 시장 내에서는 , 블라우스·셔츠 등의 상의가 전체 시장 중 가장 큰 약 29% 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는 드레스류가 약 26% 를 차지함 .
◦ 미국 남성 및 남아용 의류 생산업 현황
- IBIS World 의 미국 남성 및 남아용 의류 생산업 보고서 (Men ’ s & Boys ’ Apparel Manufacturing in the US, 2020 년 9 월 발간 ) 에 따르면 , 해당 시장의 2019 년 시장 규모는 약 16 억 8000 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2020 년에는 약 11 억 2100 만 달러 규모로의 감소가 예상됨 .
- 위에서 살펴본 여성 및 아동용 의류 생산업과 마찬가지로 , 미국 남성 및 남아용 의류 생산 시장 또한 2015 년부터 2020 년까지 최근 KOTRA 해외시장뉴스 상품·산업 | 국별주요산업 5 년간 – 7.2% 라는 마이너스 연평균 성장세를 보였으며 향후 5 년간은 연평균 3.4% 성장해 시장 규모를 다소 회복해나갈 것으로 예측됨 .
- 전반적으로는 여성 및 아동용 의류 생산업계와 동일하게 수입산 제품과의 치열한 경쟁을 겪고 있으나 , 상대적으로 프리미엄 남성 정장이나 프리미엄 데님 등 분야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며 가격보다는 ‘품질’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임 .
- 정장 및 코트 제품이 해당 시장의 약 31% 를 구성하며 셔츠 등의 상의가 약 25%, 업무용 의류 (Work clothing) 가 약 24% 를 차지함 .
◦ 미국 의류 생산업계 주요 기업
- 미국 의류 생산업계는 소규모 기업들이 낮은 비율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어 , 메이저 플레이어 기업이 두드러지지 않는 경향이 있음 .
- 여성의류 생산업계의 주요 기업으로는 ‘ American Apparel ’ 브랜드를 소유한 Gildan Activewear Inc. 와 미국 대형 의류 판매점인 Sears 납품용 의류 생산을 도맡고 있는 Kellwood Company 를 들 수 있음 .
- 남성의류 생산업계의 경우 , 남성용 고급 정장을 전문적으로 생산·판매하는 기업인 Brooks Brothers Group Inc. 와 Calvin Klein · DKNY · Tommy Hilfiger 등의 캐주얼 의류 생산 기업 PHV Corp. 가 주요 기업으로 꼽힘 .
- IBIS World 의 미국 여성 및 아동의류 도매업 시장 보고서 (Women ’ s & Children ’ s Apparel Wholesaling in the US, 2020 년 6 월 발간 ) 와 미국 남성 및 남아용 의류 도매업 시장 보고서 (Men ’ s & Boys ’ Apparel Wholesaling in the US, 2020 년 9 월 발간 ) 에 의하면 , 미국 여성 및 아동의류 도매업 시장 규모는 2019 년 기준 약 816 억 7200 만 달러를 기록함 . 남성 및 남아용 의류 도매시장의 2019 년 시장 규모는 약 546 억 1300 만 달러로 집계됨 .
- 의류 생산업계와 유사하게 도매업계에서도 2020 년 한 해 동안 큰 시장 규모 하락세를 겪으며 , 2020 년 말 기준 여성 및 아동의류 도매업의 경우 약 750 억 1100 만 달러 규모 , 남성 및 남아용 의류 도매업의 경우는 약 480 억 6500 만 달러 규모로의 감소가 예상됨 .
- 미국 의류 도매업계에서는 ‘ Hanes ’ , ‘ Champion ’ , ‘ Bali ’ , ‘ Wonderbra ’ 등의 브랜드로 알려진 Hanesbrands Inc., ‘ Polo ’ , ‘ Ralph Lauren ’ , ‘ Club Monaco ’ 등의 브랜드를 소유한 Ralph Lauren Corporation, ‘ North Face ’ , ‘ Vans ’ , ‘ Wrangler ’ 등으로 유명한 VF Corporation 등이 주요 기업으로 꼽힘 .
◦ 코로나 19 팬데믹 직격탄 입은 의류 업계
- 미국 의류 업계는 팬데믹이 휩쓴 올 한해 , 매우 심각한 영향을 받은 분야 중 하나로 분석됨 .
- 올해 초 코로나 19 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비필수 업종의 매장들은 문을 닫아야 했으며 , 이에 옷이나 신발 , 액세서리 KOTRA 해외시장뉴스 상품·산업 | 국별주요산업 등 패션 의류 업계 소매점들은 큰 타격을 입은 바 있음 .
- 팬데믹의 유행과 장기화로 인해 지역마다 각종 락다운 (Lockdown) 규제들을 시행한 가운데 ,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집에서 일하고 집에서 공부하며 집에서 여가 또한 보내게 됨 .
- 이러한 실내생활의 증가는 직장·학교·외부 행사 등 때와 장소에 맞는 패션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급감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고 , 이처럼 전반적으로 감소한 수요로 인해 의류 생산·유통·판매업계 모두에서 매출 하락세를 겪은 것으로 분석됨 .
◦ 의류 업계에서도 주목받는 ‘지속가능성’
- 미국 의류 및 패션 업계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이 큰 화두로 떠오른 바 있음 .
- 의류 업계에서 바라보는 지속가능성이란 단순히 친환경적인 생산이나 원료의 사용 등을 넘어서 제품을 제작·판매·폐기하는 모든 과정에서의 자원 낭비와 노동 착취 등의 윤리적인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넓은 의미의 트렌드로서 , 이는 의류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들 또한 동참 중인 트렌드라 할 수 있음 .
- 특히 미국의 핵심 소비자층인 밀레니얼 및 Z 세대 소비자들은 의류 구매 시 환경친화적인 섬유 , 내구성이 좋아 오래 입을 수 있는 소재 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임 . 이들은 유행에 따라 잠깐 입고 끊임없이 새로운 스타일의 옷을 구매하는 ‘패스트 패션 (Fast fashion) ’의 활성화가 야기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인식하며 , ‘지속 가능한’ 의류 소비를 실천하는 경우를 많이 찾아볼 수 있음 .
- 최근 미국 내 의류 기업들 또한 이러한 지속가능성 트렌드 실천에 동참하고 있음 . Gap, Banana Republic, Old Navy, Athleta, Madewell, Levi ’ s, North Face 등 미국의 주요 의류 브랜드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 중 하나인 H&M 에서도 지속가능성 실천을 위한 나름의 세부 목표들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임 .
- 현재 미국 의류 업계에서 활약 중인 대표적인 지속가능성 실천 브랜드로는 Everlane, Patagonia, TOMS, Reformation, Allbirds, Marine Layer 등을 들 수 있음 .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