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yang University repository
Title 청각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안구전도 신호의 분석과 의공학적 응용 Other Titles Analysis of Electrooculogram Elicited by Auditory Stimuli and Its Biomedical Applications Author 김도연 Alternative Author(s) Kim, Do Yeon Advisor(s) 임창환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청각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안구전도 신호의 분석과 의공학적 응용 연구 1: 지난 몇 년 동안 human-computer interface (HCI) 패러다임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HCI 연구들은 시각 또는 청각 자극과 같은 한정된 감각기관 위주로 연구되었으며, 낮은 신뢰도와 범용적인 활용 가능성은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시각을 이용한 HCI 패러다임들은 다른 자극을 사용하는 HCI 패러다임들에 비해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지만, 자발적인 안구 움직임을 필요로 하므로 눈의 피로도와 눈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청각을 이용한 HCI 패러다임들은 자발적인 눈의 움직임을 요구하거나 눈의 피로도를 유발하지는 않지만, 다른 HCI 패러다임들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적 자극 기반 패러다임의 과도한 안구 움직임과 청각 자극 기반의 낮은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청각 자극에 집중할 때 수동적으로 발생하는 눈 움직임을 이용한 패러다임을 제시하였고, 패러다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정상인 및 환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높은 정확도로 이진 선택 분류를 할 수 있었고, 청각-시각 혼합 형태의 BCI 방식을 제안하였다. 연구 2: 청력 검사는 단순 피험자의 청력 능력을 측정하는 장비 뿐만 아니라 청력 손실의 유무, 정도, 유형 등의 진단에 따라 적절한 치료 또는 재활 방법이 결정이 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현재 개발된 기술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은 순음 청력검사로써 다른 주파수와 강도에 따른 전기적 순음을 들려주었을 때, 피험자가 소리가 들리면 손을 들거나 버튼을 눌러서 청력 능력을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순음 청력 검사는 정신적 그리고 피험자의 응답 여부를 바탕으로 가청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요소에서 오류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된 청력 검사 장비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순음 형태의 청각 자극들을 활용하여 청각 자극에 의해 수동적으로 발생하는 눈 움직임을 이용한 패러다임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개념 증명 실험을 진행하였다.
Study 1: Development of an electrooculogram-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using involuntary eye movement by spatially rotating sound for communication of locked-in patients Individuals who have lost normal pathways for communication ne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진 신호의 유형 AAC) devic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electrooculogram (EO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HCI) paradigm for AAC that does not require a user’s voluntary eye movement for binary yes/no communication by patients in locked-in state (LIS). The proposed HCI uses a horizontal EOG elicited by involuntary auditory oculogyric reflex, in response to a rotating sound source. In the proposed HCI paradigm, a user was asked to selectively attend to one of two sound sources rotating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based on the user’s intention. The user’s intentions could then be recognized by quantifying EOGs. To validate its performance,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with ten healthy subjects, and 이진 신호의 유형 one patient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The online experimental results exhibited high-classification accuracies of 94% and 95% in healthy subjects and in the ALS patient, respectively, in cases where decisions were made every six seconds. The ALS patient also participated in a practical yes/no communication experiment with 26 questions with known answers. The patient answered correctly to all the questions, demonstrating that our paradigm could constitute an auxiliary AAC system for some LIS patients. Study 2: New method for pure tone audiometry using electrooculogram – a proof-of-concept study Hear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our life, empowers us to communicate, socialize, work, learn and even rest, and helps to keep us safe without maintaining continuous awareness. Thus, evaluating individual’s hearing ability plays a critical role in guiding appropriate treatments for not only providing aural rehabilitation strategies but also regaining maximum functioning in overall quality of life. However, contemporary hearing assessment systems do not satisfy the following criteria: an objective and valid assessment tool with a simple, quick, and non-invasive procedure. In this paper, we suggest a novel algorithm for pure-tone audiometry, which screens an individual’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more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based on eye movements in response to given spatially moving pure-tone stimuli sound stimuli at specific frequencies and intensity. Results have been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in comparison with results of conventional PTA test, and this work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itial proof-of-concept stud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1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9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IOMEDICAL ENGINEERING(생체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직접 형 AD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DC)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디지털 신호는 비트 0과 1의 조합 인 이진 코드로 표시됩니다.
그만큼 block diagram ADC의 다음 그림은-
위 그림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ADC)단일 아날로그 입력과 많은 이진 출력으로 구성됩니다. 일반적으로 ADC의 이진 출력 수는 2의 거듭 제곱이됩니다.
있습니다 two typesADC 수 : 직접 형 ADC 및 간접 형 ADC. 이 장에서는 Direct type ADC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ADC가 아날로그 입력과 비교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생성 된 등가 디지털 (바이너리) 코드를 사용하여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직접 변환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이 호출됩니다. Direct type ADC.
다음은 examples 직접 형 ADC의-
- 카운터 형 ADC
- 연속 근사 ADC
- 플래시 유형 ADC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Direct 유형 ADC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카운터 형 ADC
ㅏ counter type ADC 내부적으로 카운터 작동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입력과 거의 동일한 디지털 출력을 생성합니다.
그만큼 block diagram 카운터 타입 ADC의 그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운터 유형 ADC는 주로 클럭 신호 생성기, 카운터, DAC, 비교기 및 제어 로직의 5 개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그만큼 working 카운터 유형 ADC의 다음과 같습니다-
그만큼 control logic 카운터를 재설정하고 시작 명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 클럭 펄스를 카운터로 보내기 위해 클럭 신호 생성기를 활성화합니다.
그만큼 counter모든 클럭 펄스에 대해 1 씩 증가하며 그 값은 이진 (디지털) 형식입니다. 이 카운터의 출력은 DAC의 입력으로 적용됩니다.
DAC카운터의 출력 인 수신 된 이진 (디지털) 입력을 아날로그 출력으로 변환합니다. 비교기는이 아날로그 값 $ V_ $를 외부 아날로그 입력 값 $ V_ $와 비교합니다.
그만큼 output of comparator 될거야 ‘1’보다 큽니다. 위의 두 단계에서 언급 한 동작은 제어 로직이 비교기의 출력에서 '1'을 수신하는 한 계속됩니다.
이때 카운터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digital output. 해당 외부 아날로그 입력 값 $ V_ $와 거의 동일합니다.
연속 근사 ADC
ㅏ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ADC 내부적으로 연속 근사 기법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입력과 거의 동일한 디지털 출력을 생성합니다.
그만큼 block diagram 연속 근사 ADC의 다음 그림은
연속 근사 ADC는 주로 클럭 신호 생성기, SAR (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DAC, 비교기 및 제어 로직의 5 개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그만큼 working 연속 근사 ADC의 다음과 같습니다-
그만큼 control logic SAR의 모든 비트를 재설정하고 시작 명령 신호를 수신했을 때 SAR에 클럭 펄스를 보내기 위해 클럭 신호 생성기를 활성화합니다.
이진 (디지털) 데이터 SAR비교기의 출력을 기반으로 모든 클럭 펄스에 대해 업데이트됩니다. SAR의 출력은 DAC의 입력으로 적용됩니다.
DAC 수신 된 디지털 입력 (SAR의 출력)을 아날로그 출력으로 변환합니다. 비교기는이 아날로그 값 $ V_ $를 외부 아날로그 입력 값 $ V_ $와 비교합니다.
위 단계에서 언급 한 작업은 디지털 출력이 유효한 출력이 될 때까지 계속됩니다.
디지털 출력은 해당하는 외부 아날로그 입력 값 $ V_ $와 거의 동일 할 때 유효한 출력이됩니다.
플래시 유형 ADC
ㅏ flash type ADC즉시 해당 아날로그 입력에 대해 동등한 디지털 출력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플래시 유형 ADC는 가장 빠른 ADC입니다.
그만큼 circuit diagram 3 비트 플래시 유형 ADC의 그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3 비트 플래시 유형 ADC는 이진 신호의 유형 전압 분배기 네트워크, 7 개의 비교기 및 우선 순위 인코더로 구성됩니다.
그만큼 working 3 비트 플래시 형 ADC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만큼 voltage divider network8 개의 동일한 저항을 포함합니다. 기준 전압 $ V_ $은 접지와 관련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적용됩니다. 접지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위로 각 저항의 전압 강하는 $ \ frac
외부 input voltage$ V_ $는 모든 비교기의 비 반전 단자에 적용됩니다. 접지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위로 각 저항의 전압 강하는 아래에서 위로 비교기의 반전 단자에 적용됩니다.
한 번에 모든 비교기는 외부 입력 전압을 각각의 다른 입력 단자에 존재하는 전압 강하와 비교합니다. 즉, 비교 작업은 각 비교기에서 수행됩니다.parallelly.
그만큼 output of the comparator$ V_ $가 각각의 다른 입력 단자에 존재하는 전압 강하보다 크면 '1'이됩니다. 마찬가지로, $ V_ $가 각각의 다른 입력 단자에 존재하는 전압 강하보다 작거나 같을 때 비교기의 출력은 '0'이됩니다.
비교기의 모든 출력은 입력으로 연결됩니다. priority encoder이 우선 순위 인코더는 '1'이있는 높은 우선 순위 입력에 해당하는 이진 코드 (디지털 출력)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우선 순위 인코더의 출력은 이진 등가물 일뿐입니다. (digital output) 외부 아날로그 입력 전압의 $ V_ $.
이진 신호의 유형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출간일 | 2022년 05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28쪽 | 190*240*30mm |
ISBN13 | 9788970505435 |
ISBN10 | 8970505431 |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1.1 신호
1.1.1 신호의 정의
1.1.2 신호의 분류
1.1.3 이산신호
1.1.4 디지털신호 및 이진신호
1.2 시스템
1.2.1 시스템의 정의
1.2.2 연속시스템과 이산시스템
1.3 디지털 신호처리
1.3.1 디지털 신호처리의 개요
1.3.2 디지털 신호처리의 범주
연습문제
CHAPTER 02 연속시간신호의 분석
2.1 푸리에해석
2.2 정현파신호
2.2.1 등각속도 회전운동
2.2.2 정현파신호의 생성
2.3 복소지수신호
2.3.1 복소수
2.3.2 복소지수 정현파신호
2.3.3 정현파신호의 주파수영역 표현
2.4 연속시간 푸리에급수
2.4.1 삼각함수에 의한 연속시간 푸리에급수
2.4.2 복소지수에 의한 연속시간 푸리에급수
2.5 연속시간 푸리에변환
2.6 샘플링과 복원
2.6.1 샘플링
2.6.2 복원
연습문제
CHAPTER 03 이산시간신호와 시스템
3.1 이산시간신호와 이산신호
3.1.1 이산시간신호
3.1.2 이산신호
3.2 이산신호의 종류
3.3 이산신호의 연산
3.3.1 기본 연산
3.3.2 다른 유용한 연산들
3.4 이산시스템
3.4.1 선형시스템
3.4.2 시불변시스템
3.4.3 선형시불변시스템
3.5 컨볼루션
3.6 차분방정식
연습문제
CHAPTER 04 이산 푸리에변환
4.1 이산시간 푸리에급수
4.2 이산시간 푸리에변환
4.3 이산 푸리에변환
4.3.1 회전인자
4.3.2 DFT 쌍을 이용한 디지털 신호처리
4.4 고속 푸리에변환
4.4.1 고속 푸리에변환
4.4.2 역 고속 푸리에변환
연습문제
CHAPTER 05 z-변환
5.1 z-변환
5.2 z-변환의 주요 특성
5.3 역 z-변환
5.4 z-영역에서의 시스템 표현
5.4.1 시스템함수
5.4.2 차분방정식으로부터 시스템함수 구하기
5.4.3 시스템함수로부터 주파수응답함수의 표현
5.4.4 안정성과 인과성
5.5 차분방정식의 해
연습문제
CHAPTER 06 디지털필터 구조
6.1 기본 소자
6.2 IIR 필터 구조
6.2.1 직접형
6.2.2 직렬형
6.2.3 병렬형
6.3 IIR 필터 구조 실습
6.3.1 제1 직접형 구조 실습
6.3.2 제2 직접형 구조 실습
6.3.3 전치 제2 직접형 구조 실습
6.3.4 직렬형 구조 실습
6.3.5 병렬형 구조 실습
6.4 FIR 필터 구조
6.4.1 직접형
6.4.2 직렬형
6.4.3 선형위상형
6.5 FIR 필터 구조 실습
6.5.1 직접형 구조 실습
6.5.2 직렬형 구조 실습
6.5.3 선형위상형 구조 실습
연습문제
CHAPTER 07 디지털 FIR 필터 설계
7.1 디지털필터 설계 기초
7.1.1 이상적인 필터의 특성
7.1.2 실제적인 필터 특성
7.1.3 필터 설계 사양
7.2 디지털 FIR 필터 설계 기법
7.3 위상과 선형위상
7.4 선형위상 FIR 필터의 특성
7.4.1 임펄스응답 특성
7.4.2 주파수응답과 위상응답 특성
7.4.3 선형위상 FIR 필터의 영점 분포 특성
7.5 선형위상 FIR 필터의 형태와 특성 실습
7.5.1 제1형 선형위상 FIR 필터
7.5.2 제2형 선형위상 FIR 필터
7.5.3 제3형 선형위상 FIR 필터
7.5.4 제4형 선형위상 FIR 필터
7.6 창 설계 기법의 개요와 창의 종류
7.6.1 창 설계 기법의 개요
7.6.2 창의 종류
7.7 창 설계 기법에 의한 FIR 필터 설계
7.7.1 이상적인 필터 구성
7.7.2 해밍 창에 의한 저역통과 FIR 필터 설계
7.7.3 핸 창에 의한 고역통과 FIR 필터 설계
7.7.4 블랙맨 창에 의한 대역통과 FIR 필터 설계
7.7.5 카이저 창에 의한 대역저지 FIR 필터 설계
7.8 최적 등-리플 설계 기법에 의한 FIR 필터 설계
7.8.1 미니맥스 문제
7.8.2 최적 등-리플 FIR 필터 설계
연습문제
CHAPTER 08 디지털 IIR 필터 설계
저자 소개 (1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오늘날 우리는 고도로 발달된 디지털 시대에 살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기기와 함께하지 않는 경우가 없고 디지털이라는 용어도 마치 필수 언어처럼 매우 익숙해져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은 연결된 키보드나 마이크나 카메라를 통해서 문자나 음성이나 영상을 입력받기도 하고 모니터나 프린터 등으로 출력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입출력을 행하기 위해서는 사실 디지털 기기 내부에서 신호 또는 데이터를 디지털로 처리하는 어떤 복잡한 과정들을 거치게 되어 있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도 각종 생산 및 측정 장비들이 연결된 센서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원하는 출력을 얻기까지 특정한 디지털 형태의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고도의 생산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군사나 항공우주와 같이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기와 디지털 신호처리를 적용해야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디지털 신호처리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학문은 아니지만 전기전자나 통신, 그리고 컴퓨터공학 분야에서는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기본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필자는 대학에서 이 과목을 올해로 27년 동안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가르쳐 왔다. 그 동안 포트란, 파스칼, C 언어를 사용해서 그 이론을 이해하는 실습을 병행해 왔을 뿐만 아니라, 랩뷰와 같은 매우 효율적이고 가시적인 그래픽 구현 환경을 제공하는 상용 툴을 사용하기도 했으며, 더불어 디지털 신호처리기(DSP)를 사용해서 실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해 보는 실습을 병행하기도 해왔다.
특히 매트랩은 사용하기에 비용측면에서 부담되기는 하나 많은 유용한 함수들을 라이브러리로 제공하고 있어 공학 분야의 시뮬레이션뿐만 아니라 현장설계에도 매우 유용한 소프트웨어 툴이며 학생들이 저비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고 있어 필자는 이번에 이 매트랩 함수들을 활용하여 디지털 신호처리 실습을 이론과 함께 병용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먼저 이 교재는 대학에서 필수 또는 선택과목으로 한 학기 동안 배울 수 있는 분량으로 집필했지만 다른 교재들에서 소홀하게 다루고 있는 필터 설계 부분을 많이 첨가했기 때문에 다소 시간을 요하는 면이 있다. 하지만 기본 개념들이 반복되는 점을 고려하고 배우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 별도로 자율 실습을 하면 한 학기 동안 배우기에는 적정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본 교재는 Thomson 사에서 출판한 Vinay K. Ingle과 John G. Proakis의 “Digital Signal Processing Using MATLAB”을 참조하였음을 밝히며 디지털 신호처리에 관한 기본 개념뿐 아니라 응용까지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세세한 내용을 알게 해준 저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필자는 이 교재에서 실습을 위해 매트랩을 사용하였으며, 매트랩의 기본 문법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매트랩의 구조가 비교적 간편하여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쉽게 이해하고 또 도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며, 이 책을 통해 매트랩을 익힘과 동시에 디지털 신호처리도 배울 수 있으니,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공학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1. 실습 언어로 매트랩을 사용하였다.
매트랩은 Mathwork 사에서 개발한 공학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 겸 애플리케이션이다. 그래픽 처리를 통한 가시적인 효과나 연산처리 능력이 매우 우수하여 기본 제어 구조만 익힌다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책에서 제공하는 소스코드를 사용해서 곧 바로 실행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 신호처리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매트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응용 능력도 키울 수 있다.
2. 이론에 알맞은 예제를 제공하였다.
디지털 신호처리 이론은 행렬, 삼각함수, 복소수와 같은 관련 수학함수들을 기반으로 전개된다. 그러므로 그 수학적 구조로 인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으나, 예제를 통하면 손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책에서도 각 장마다 관련 예제들을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 예제들을 풀어봄으로써 역으로 이론을 이해하는 접근방법에 많은 도움이 될 이진 신호의 유형 것이다.
3. 예제별로 소스코드의 부분 해석을 곁들였다.
예제별로 전체 소스코드의 부분들을 순서대로 그 결과와 함께 비교하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을 곁들임으로써 전체 소스코드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장들마다 예제들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 부분들을 별도로 모듈 형태로 불러 쓸 수 있도록 각 장의 끝부분에 모듈 소스코드 전체를 제공하였으므로 각 예제별로 참조하여 사용하면 된다.
4. 연습문제를 많이 제공하였다.
예제들은 이론을 이해하기에 알맞은 정도로 한정되기 때문에 배운 기초 이론을 확실히 이해하고 보다 확장해 보기 위해서는 연습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책에서도 다양하게 응용한 연습문제들을 각 장별로 많이 제공하였으며 프로그래밍 문제도 곁들였으므로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배송/반품/교환 안내
배송 안내
안전하고 정확한 포장을 위해 CCTV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님께 배송되는 모든 상품을 CCTV로 녹화하고 있으며,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작업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 신호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의 단어 : 226개
report this ad
report this ad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ㅅ ㅎ (총 615개) : 사하, 사학, 사한, 사할, 사함, 사합, 사항, 사해, 사핵, 사행, 사향, 사헐, 사헤, 사혁, 사현, 사혈, 사혐, 사형, 사혜, 사호, 사혹, 사혼, 사홈, 사화, 사환, 사활, 사황, 사홰, 사회, 사횡, 사효, 사후, 사훈, 사훤, 사훼, 사휘, 사흔, 사흘, 사흥, 사희, 삭하, 삭회, 삭흔, 산하, 산학, 산한, 산합, 산해, 산행, 산향, 산험, 산현, 산혈, 산협, 산형, 산호, 산화, 산회, 산효, 산후, 산훼, 산휴, 산희, 살해, 살헤, 살현, 살홍, 살활, 살획, 살흉, 살흙, 삼하, 삼학, 삼한, 삼함, 삼합, 삼행, 삼향, 삼허, 삼헌, 삼혁, 삼현, 삼형, 삼혜, 삼호, 삼혹, 삼혼, 삼화, 삼환, 삼황, 삼회, 삼효, 삼휘, 삼흉, 삼힐, 삽향, 삽혈, 삽혜, 삽화, 상하 .
▹ 실전 끝말 잇기
• 신호로 끝나는 단어 (557개) : 선로 신호, 비주기 신호, 양극 신호, 인터럽트 긍정 응답 신호, 구난 신호, 수신호, 디지털 신호, 찾아보기 신호, 평형 집합 신호, 아이 신호, 역방향 교환 신호, 무선 지령 신호, 시작 다이얼링 신호, 먼거리 신호, 루프 입력 신호, 가입자선 신호, 작동 신호, 단절 신호, 감시 신호, 검역 신호, 갑문신호, 핵 이행 신호, 발광 신호, 색 위치 광 신호, 정지 신호, 처리 간섭 신호, 모스 신호, 농담 보상 신호, 교사의 신호, 동기 신호 .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report this a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