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bp 인상 가능 - 뉴스핌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애틀랜타 연은 총재 "경제 지표 강력해지면 75bp 인상 가능"

사진

[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현재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 또는 75bp 인상할지 결정하지 않았지만, 지표가 강력해지면 75bp 금리 인상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보스틱 총재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50bp 또는 75bp 금리 인상 여부는 '동전 던지기'에 75bp 인상 가능 - 뉴스핌 비유하며 "정책 입안자로서 우리 모두는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이며 우리가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하는 도전임을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파엘 보스틱 미국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 [사진= 로이터 뉴스핌]

보스틱 총재는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주요 고용과 인플레이션 지표가 남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인플레이션 급등세가 고점에 이르렀다고 말하긴 아직 너무 이르다며 연준이 올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을 분명히 했다.

국내 최고의 해외투자 뉴스 GAM

그는 "현시점에서 둘 사이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라고 한다면 동전을 던질 것"이라며 "지표가 강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지 않으면 또 다시 75bp 인상에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보스틱 총재는 현재 중립 금리 수준이 3%에 근접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빍혔다.

그는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올해 말에 완료되길 희망한다"며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3.5%~3.75%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그는 경제 전망에 대해 낙관했다. 그는 올해 약 2%의 성장률을 예상하고 내년에는 0.5~1%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3.5%의 실업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오를 수도 있지만 노동 시장이 여전히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 지표 뉴스

* 중국의 경제 지표를 믿지 못하는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신뢰하는 데이터가 리커창 지수입니다. 철도 물동량, 전략 소비량 및 은행 대출 증가율로 구성됩니다.

출처 : 픽사베이

▲ 리커창 지수로 실질적인 중국 75bp 인상 가능 - 뉴스핌 제조업의 활력도 확인

중국 정부에서 발표하는 GDP를 신뢰하지 못하는 투자자들이 만들어 사용하는 지표로 리커창 지수가 유명하다. 철도 물동량 25%, 전력 소비량 40% 및 대출증가율 35%로 구성된다. GDP에 비해 주가를 더 설명한다.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2022년 7월 리커창 지수는 6.6으로 2015~16년 미니 불황기, 2020년 코로나 기간에 비해 높다.

▲ 미국판 리커창 지수가 나타내는 경제는 양호

- 철도 물동량 : 2022년 75bp 인상 가능 - 뉴스핌 5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하락세로 전환됐던 미국의 철도 물동량은 8월 들어서 75bp 인상 가능 - 뉴스핌 보합까지 회복됐다. 경기 침체기에 진입하면 두 자릿수 이상의 축소율을 기록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지금의 수치는 경제가 건전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 전력 소비량 : 2009년 이후 미국의 전력 소비량과 S&P500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율은 동행하는 경향이 있다. 주가가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한 올해 4월부터 두 지표의 움직임이 달라졌다. 시장이 침체기를 미리 반영했다는 의미다. 실제로 전력 소비량이 떨어지는 경기 둔화가 나타나더라도 주가가 미리 반영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 대출 증가율 : 9월부터 본격화될 양적 긴축에 대한 우려가 크다. 중앙은행에서 돈을 빨아들일 때 민간에서 대출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다면, 시중의 자금 경색 정도를 완화할 수 있다. 2022년 8월 중순 75bp 인상 가능 - 뉴스핌 기준 미국의 대출 증가율은 17%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물가 발표일까지 약세일 가능성 있지만, 전 저점 하회 가능성 低

8월에 발표된 물가 상승률이 8.5%로 전월 대비 0.6%p가 축소되며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9월 13일에 발표되는 8월 물가 상승률이 7%대가 나오려면 전월 대비 하락률이 0.4%이 나와야 한다. 쉽지 않은 숫자이다. 8월 물가는 기대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9월 중순까지는 보수적인 대응이 적절하다. 우리는 전저점 아래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며, S&P 500 Bear 시나리오 3,700을 유지한다.

* 미국 경기는 GDP와 소비 등을 통해서 많이 살피지만, 제조업에 대해서는 설문조사를 주로 활용합니다. 응답에 심리적인 요소가 반영되기 때문에 결과에는 후행적인 성격이 녹아 있습니다. 실질적인 미국의 제조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주간으로 발표되는 철도 물동량 및 대출 증가율과 월간으로 나오는 전기 사용량을 통해 경기 침체와는 거리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